반응형

 

책<프레임> 관련 사진

저자 및 책 소개

최인철 교수는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이자 행복 연구자로, 인간의 인지 과정과 행동을 연구하며 사람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이 삶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데 집중해 왔다. 그는 서울대학교에서 심리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미시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다양한 연구와 강의를 통해 인간의 심리적 사고 방식이 우리의 삶과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 있다.

그의 연구는 인지 심리학, 행동경제학, 긍정심리학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인간이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이 우리의 행동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둔다. 『프레임』은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프레임’이 우리의 행복, 선택, 성공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는 책이다.

프레임』은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 즉 ‘프레임’이 삶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책이다. 같은 사건과 상황이라도 사람마다 다르게 해석하는 이유는 바로 각자가 가진 ‘프레임’ 때문이다. 프레임은 단순한 관점이 아니라 우리가 세상을 인식하고 해석하는 방식 자체를 결정하는 강력한 필터다. 이 책은 우리가 얼마나 프레임의 영향을 받고 있는지, 그리고 이를 어떻게 조정하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저자는 다양한 심리학 연구와 실험을 통해 프레임이 우리의 판단과 의사결정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보여준다. 또한,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갖고 있는 고정관념과 편향을 극복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보다 유연하고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다. 『프레임』은 심리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하지만, 복잡한 개념을 쉽게 풀어 설명하여 일반 독자들도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다.

책의 주요 내용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프레임’이란 무엇이며, 우리가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사람들은 같은 상황에서도 각자 다른 시각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동일한 뉴스를 보더라도 누군가는 부정적으로, 또 다른 누군가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 이는 각자가 가진 프레임의 차이 때문이다. 저자는 이러한 프레임이 형성되는 과정과 그것이 우리의 일상적인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프레임을 소개하고, 우리가 의사결정을 내릴 때 어떤 프레임을 활용하는지 분석한다. 예를 들어, ‘손실 회피 프레임’은 사람들이 이익을 얻는 것보다 손실을 피하는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을 설명한다. 또 ‘고정관념 프레임’은 우리가 기존의 사고방식에 얽매여 새로운 가능성을 보지 못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저자는 이러한 다양한 프레임을 소개하며, 우리의 사고방식을 보다 유연하게 만들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프레임을 어떻게 바꾸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부정적인 프레임을 긍정적인 프레임으로 전환하는 방법, 상황을 바라보는 시각을 조정하여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 창의적인 사고를 증진하는 방법 등이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설명된다. 결국 우리의 행복과 성공은 우리가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프레임을 바꾸는 연습을 통해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서평

『프레임』은 단순한 심리학 책이 아니라, 우리가 일상에서 어떻게 사고하고 판단하는지를 점검하게 만드는 책이다. 저자는 복잡한 심리학적 개념을 쉽게 풀어 설명하며, 독자들이 자신의 사고방식을 점검하고 변화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책을 읽다 보면, 우리가 얼마나 프레임의 영향을 받고 있는지 깨닫게 되며, 이를 조정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배울 수 있다.

특히, 책에서 소개하는 다양한 연구 사례들은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가지고 있던 사고방식을 돌아보게 한다. 왜 우리는 같은 상황에서도 다르게 반응하는가? 왜 어떤 사람은 부정적인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해석을 하는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으며, 자신의 사고방식을 보다 유연하고 긍정적으로 조정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프레임』은 자기계발을 원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조직에서 리더십을 발휘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도 매우 유용한 책이다. 조직 내에서 다양한 의견을 조율하고, 보다 객관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프레임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책은 리더들이 자신의 사고방식을 점검하고, 조직 내에서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다.

 

 

반응형